MariaDB 설치 이후 Database 생성과 해당 Database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 보자.

아래 내용은 구글링하면 너무나도 많은 정보들이, 더 정확하고 양질의 정보들이 나오는 내용들이라 굳이 나의 편의성에 의해 기록해 놓는다. 

 

Database 생성

[ STEP 1 ] Database 접속

 

$ mysql -uroot

 root 계정으로 mysql에 접속한다.

root 계정으로 MariaDB 접속

[ STEP 2 ] Database 생성 및 확인

 

MariaDB [(none)]>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MariaDB [(none)]> SHOW DATABASES;

신규 생성된 DATABASE 정보

[ STEP 3 ] Database 선택

 

처음 접속했을 때 'MariaDB [(none)]'에서처럼 'none'으로 어떤 DB도 선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USE 명령어로 사용할 DB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접속하면서 DATABASE를 지정할 수도 있다.

 

MariaDB [(none)]> USE LATS

특정 DATABASE 선택

접속할 때 DATABASE를 선택하고 싶을 경우 DATABASE 명을 입력해 주면 된다.

 $ mysql -u계정 -p비밀번호 LATS

 

사용자 계정 생성

생성한 DATABASE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 보자.

 

[ STEP 1 ] 사용자 계성 생성 및 권한 부여

 

MariaDB [선택DB]> CREATE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MariaDB [선택DB]>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 TO '계정명'@'%';

사용자 계정 생성 및 DB 권한 설정

로컬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localhost를 추가해준다.
MariaDB [선택DB]> CREATE USER '계정명'@'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STEP 2 ] 사용자 계정 모든 IP 접속 허용

 

MariaDB [선택DB]> GRANT ALL PRIVILEGES ON *.* TO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사용자 계정 외부 접속 IP 허용 설정

특정 IP 대역만 허용하고 싶을 경우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GRANT ALL PREVILEGES ON *.* TO '계정명'@'192.168.%' IDENTIFIED BY '비밀번호';

 

 

다음 포스팅은 외부 IP를 통해 위의 계정으로 Database에 접근하는 것을 포스팅 하려한다.

참고로 위의 DB는 내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접속 시 공유기를 거쳐야 하기때문에 DNS 설정과 Port Forwarding 설정 후 진행해야 한다.

(예전에 사용하던 DNS 서비스가 만료되었는데...무료 DNS 서비스를 찾아봐야지....)

Posted by [ 브랜든 ]
,

처음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했던 이유는 내 개인적인 개발 서버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C 컴파일이나 쉘 스크립트, 그리고 Python 정도만 돌아가면 됐었기에 라즈베리파이로도 충분했다.

(STT 처리 모듈 테스트를 위해 값 비싼 GPU도 있으면 좋겠지만...회사 서버를 사용하는 걸로...)

 

가끔 On-Premise 사업을 진행하면서 운영에 필요한 Utility들을 짬짬히 개발하거나 내 Library 소스를 관리하는데에 많이 이용한다. 

 

Database를 설치해두면 개인적으로 매우 유용한 '서버'로써의 라즈베리파이를 쓸 수 있다. 게다가 공유기 Port Fowarding과 외부 접근 가능 계정을 할당하여 사용한다면 언제 어디서는 사용할 수 있는 DB 서버가 된다. 

 

나는 가장 널리 사용하는 MySQL과 동일한 소스코드 기반으로 동작하는 MariaDB(무료니까...)를 설치해 사용하도록 해야겠다. 

 

https://ko.wikipedia.org/wiki/MariaDB

 

MariaDB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

ko.wikipedia.org


[ Step 1 ] MariaDB yum 'repository' 등록

 

'repository'는 패키지들을 모아 놓은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작업은 당연히 root 권한으로 해야한다.

 

/etc/yum.repos.d/MriaDB.repo 파일 생성

10.3 버전을 base로 설정했는데 원하는 버전으로 변경해도 된다.

 

[ Stem 2 ] yum 업데이트 실행

 

MariaDB.repo 파일 생성 확인 후, yum update 명령어를 실행

MariaDB repository 설정 추가 후 'yum update'를 실행하면 mariadb 관련 update가 진행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yum repolist' 명령어로 MariaDB repository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중간에 mariadb 관련 repository 등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Step 3 ] MariaDB 설치 및 확인

 

yum install mariadb-server 명령어로 MariaDB를 설치한다.

 

mariadb-server만 설치가 된다. 다른 블로그를 찾다보면 mariadb-client도 같이 입력하도록 한 사람들이 많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rpm -qa 명령어로 잘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설치된 MariaDB 관련 패키지 목록.

 

[ Step 4 ] MariaDB 실행 및 접속 확인

 

systemctl 명령어로 MariaDB를 실행한다. 

 

'active' 상태의 MariaDB 확인.

 

root로 MariaDB 접속을 확인한다.

 

중간에 mysql.sock 관련해서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MySql과 MariaDB는 조금만 구글링해보아도 많은 솔루션이 있기 때문에 설치 자체는 어렵지 않다. 

 

다음 포스팅은 외부접속 계정 생성과 실제 외부 접속을 진행해 보도록 해야겠다. 

 

 

Posted by [ 브랜든 ]
,